자주하는 질문

1

출근 처리를 하게 하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?

[관리자]

1.근로자 정보 등록

근로자를 등록한 후, 가입코드를 발송합니다.

2.스케줄 등록 및 출근 확정

-스케줄 등록 화면에서 [출근자 등록] 버튼을 클릭합니다.

-출근할 일자를 선택한 후, 인원을 등록합니다.

-등록한 인원에 대해 출근 확정 처리를 완료합니다.

※ 전자근로계약 서비스를 사용하는 경우:

출근 확정 시 근로계약서가 자동 생성되며,

근로자는 하루 전부터 계약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.

[근로자]

-모바일(가입코드입력, 회원가입) 또는 테블릿에서 출근확정이 된 스케줄에 대해 출/퇴근 처리가 가능합니다.

2

전자 근로계약서를 근로자에게 발송하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?

[관리자]

1.개별 생성

- 근로자 정보 등록에서 1명씩 개별로 전자근로계약 생성이 가능합니다

2.일괄 생성

- 스케줄 등록 후 출근 확정 시, 설정된 정보대로 자동생성이 됩니다.

3.계약서 조회

근로자-서명계약조회 화면에서 작성된 계약서를 조회하고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.

[근로자]

오늘도 출근 앱 메인화면에서 확정된 스케줄 하루전부터 전자근로계약 작성 링크가 조회되며,

출근 체크 시 작성하지 않은 경우 계약서가 자동 표시되어 누락을 방지합니다.

테블릿 경우 출근 체크 시 전자근로계약서에 서명하게 되어 있습니다.

3

TBM 안전일지 기능을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?

[관리자]

[안전 > 센터별 안전관리] 화면에서 목록의 상세 버튼을 클릭합니다.

안전관리 여부 항목을 "사용"으로 설정하고 저장하면,

안전담당자 지정 및 안전교육 리포트(TBM 양식) 설정이 가능합니다.

설정 완료 후, 근로자는 모바일에서 출근 처리 시

TBM 안전일지의 교육내용을 확인하고 전자서명하게 됩니다.

관리자 화면의 [안전 > 안전교육현황] 메뉴에서는

출근한 인원들의 전자서명된 TBM 안전일지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.

요약 : 안전관리 설정->TBM 양식 설정 ->출근자 서명 확인

[근로자]

모바일 또는 테블릿으로 출근 시 TBM 안전일지 내용을 확인하고 전자서명을 진행합니다.

4

급여 정산 기능을 이용하고 어떻게 해야 되나요?

[관리자]

1.[템플릿 > 보험요율] 화면에서

- 4대보험 요율을 설정합니다.

- 4대보험 미가입자 구분을 위해 소득세 3.3%를 등록합니다.

2.[정산 > 센터별 보험요율] 화면에서

- 각 센터별 현장에 맞는 보험요율 템플릿을 등록하고,

- 보험요율 변경 시점을 미리 설정해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정산-센터별보험요율에서 각센터 현장에 맞게 보험요율 템플릿을 등록하여 관리할수 있고

보험요율이 변경되는 시점을 미리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.

3.설정 완료 후, [정산 > 급여] 화면에서

- 정산처리 요청 버튼을 눌러

- 일급/주급/월급 기준으로 출근 데이터를 기반한 급여대장을 생성합니다.

4.정산 확정 버튼 클릭 시,

근로자들은 모바일에서 급여명세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조직

조직

사업자, 소속업체, 센터 한번에 연결 (디바이스는 제외)

근로자등록

근로자등록

신규 근로자 생성 , 신규 복사 , 근무 복사 하는거 한번에 연결